🎵다이애나를 추모하면서...엘트 존 Candle in the Wind 1997

반응형

 

1997년 8월 31일, 전 세계를 충격에 빠뜨린 비극적인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영국의 왕세자비였던 다이애나가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난 것이죠. 그녀의 죽음은 영국 국민뿐 아니라 전 세계 수많은 사람들의 슬픔을 자아냈습니다.

엘튼 존은 다이애나와 개인적인 친분이 있었으며, 그녀의 죽음을 깊이 애도했습니다. 이에 따라 엘튼 존은 작사가 **버니 토핀(Bernie Taupin)**과 함께 기존의 *"Candle in the Wind (1973)"*을 개사하여 새로운 헌정곡을 만들게 됩니다.

원곡은 1973년에 발표된 곡으로, 할리우드의 전설적인 여배우 **마릴린 먼로(Marilyn Monroe)**에게 헌정된 노래였습니다. 1997년 버전은 가사를 바꿔 다이애나에게 바치는 곡으로 재탄생하게 됩니다.

가사의 첫 줄부터 기존과는 다르게 다이애나의 삶과 죽음을 표현합니다:

"Goodbye England’s rose, may you ever grow in our hearts…"

이 문장은 다이애나를 ‘영국의 장미’로 비유하며, 그녀가 국민의 가슴 속에 영원히 남을 존재임을 상징합니다. 노래 전체는 그녀의 따뜻함, 연민, 인도주의적 활동을 기리고 있으며, 그녀의 갑작스러운 죽음에 대한 슬픔을 담담하지만 깊이 있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 노래는 1997년 9월 6일, 다이애나 왕세자비의 장례식에서 웨스트민스터 사원(Westminster Abbey)에서 엘튼 존에 의해 단 한 번 공식적으로 공연되었습니다. 당시 이 장면은 전 세계 20억 명 이상이 지켜보았으며, 수많은 이들의 가슴을 울렸습니다.

이 장례식 라이브 이후, 엘튼 존은 이 곡을 라이브 공연에서 다시 부르지 않겠다고 선언했습니다. 곡은 오직 다이애나를 위한 헌정곡으로 남기기 위함이었죠.

음반 발매 및 기록

  • 발매일: 1997년 9월 13일
  • 형식: CD 싱글 (Something About the Way You Look Tonight와 함께 수록)
  • 모든 수익은 **다이애나 추모 기금(The Diana, Princess of Wales Memorial Fund)**에 기부됨
  • 전 세계 판매량: 약 3,300만 장 이상
  • 기록:
    • 영국과 미국 등 30개국 이상에서 차트 1위
    •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싱글 음반 중 하나 (기네스 기록)

 

엘튼 존은 이 노래를 통해 깊은 슬픔을 예술로 승화시켰습니다. 그가 직접 밝힌 바에 따르면, 다이애나가 살아 있었을 때 서로의 삶을 지지하며 좋은 우정을 나눴다고 합니다. 그에게 있어 이 곡은 단순한 음악이 아니라, 한 친구의 죽음을 애도하는 고백이었습니다.

그는 이후 이 곡을 상업적으로 사용하거나 공연하지 않았으며, 진정으로 그녀를 위한 곡으로 남기려는 결정을 지켰습니다.

*"Candle in the Wind 1997"*은 단순한 추모곡을 넘어, 음악이 어떻게 사람의 마음을 위로하고 역사의 한 페이지를 기록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예입니다. 엘튼 존의 진심 어린 목소리와 버니 토핀의 감성적인 가사는 전 세계 수많은 이들에게 공감과 위로를 전해주었습니다.

다이애나를 기억하는 사람들에게, 이 노래는 여전히 그녀의 영혼을 노래하는 촛불로 남아 있습니다.

 

음악듣기==> https://youtu.be/L7euQpG7wi8?si=yeOoh75wUFqxTb3Y <==음악듣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