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로 북극 탐험 성공?_로버트 피어리 (Robert Peary)

반응형

로버트 피어리 (Robert Peary)

로버트 에드윈 피어리(Robert Edwin Peary, 1856~1920)는 미국의 탐험가로, 최초로 북극점(North Pole)에 도달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1909년 4월 6일, 피어리는 팀원들과 함께 북극점에 도달했다고 주장했으며, 이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건으로 기록되었다. 그러나 그의 주장에 대한 논란이 존재하며, 이후에도 많은 탐험가와 연구자들이 그가 실제로 북극점에 도달했는지에 대해 논의해 왔다????

생애와 교육

  • 출생: 1856년 5월 6일,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크레슨(Cresson)
  • 어린 시절 메인(Maine) 주 포틀랜드에서 성장
  • 보든 대학교(Bowdoin College)에서 공학 전공(1877년 졸업)
  • 졸업 후 **미국 해군 토목기사단(US Navy Civil Engineer Corps)**에 입대하여 엔지니어로 활동

탐험 활동

피어리는 해군 장교로 근무하는 동안 북극 탐험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1886년 첫 번째 그린란드 탐험을 수행했다.

  • 1886년 그린란드 탐사:
    • 피어리는 덴마크인 크누드 라스무센(Knud Rasmussen) 등의 연구에 영향을 받아, 그린란드가 섬이라는 이론을 증명하기 위해 탐사했다.
    • 하지만 첫 탐사는 큰 성과 없이 종료됨.
  • 1891년~1892년 두 번째 탐험:
    • 피어리는 그린란드 북부를 더 깊이 탐험하며, 이누이트(Inuit) 원주민들의 기술과 생존 방식(개썰매 운용법 등)을 배움.
    • 피어리의 아내 **조세핀 디블리 피어리(Josephine Diebitsch Peary)**도 탐험에 동참.

이 탐험을 통해 북극 탐사의 전략을 체계화하며, 향후 북극점 도달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북극 탐험 준비 (1898~1909년)

1898년부터 피어리는 본격적으로 북극점 탐험을 목표로 삼았다. 그는 이누이트의 생존 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탐험 계획을 세웠다.

이누이트 생존 기술 채택

  • 개썰매 사용: 기존 탐험가들은 서구식 장비를 사용했으나, 피어리는 이누이트의 전통적인 개썰매 방식을 채택하여 이동 속도를 극대화했다.
  • 털가죽 옷 착용: 기존 유럽식 방한복보다 가볍고 따뜻한 이누이트식 털가죽 옷을 입음.
  • 식량 보급 전략: 사전 탐사를 통해 보급 기지를 미리 구축하여, 탐험 중 식량을 최소한으로 휴대하도록 함.

1909년 북극점 탐험

1908년 7월, 피어리는 그의 팀과 함께 배 **"루스벨트호(Roosevelt)"**를 타고 북극 탐험을 출발했다.

  • 탐험 경로:
    • 배를 타고 캐나다 엘즈미어 섬(Ellesmere Island) 근처의 케이프 셰리든(Cape Sheridan)에 도착
    • 개썰매와 도보로 북극점으로 이동
  • 최종 탐험팀:
    • 피어리 본인
    • 매튜 헨슨(Matthew Henson, 아프리카계 미국인 탐험가)
    • 4명의 이누이트 가이드(에빙와(Egingwah), 우타(Utah), 시구아(Sigloo), 오케아호(Ooqueah))
  • 1909년 4월 6일피어리는 북극점에 도달했다고 선언
    • 그는 미국 국기를 설치하고 탐험 성공을 알리는 기록을 남겼다고 주장함.
    • 그러나 정확한 위치 기록이 부족하여 논란이 발생.

프레드릭 쿡(Frederick Cook)의 주장

1908년, 탐험가 **프레드릭 쿡(Frederick Cook)**이 자신이 피어리보다 먼저 북극점에 도달했다고 주장했다.

  • 쿡은 1908년 4월에 북극점에 도착했다고 발표했으나, 탐험 기록이 부족하여 신뢰도가 떨어짐.
  • 미국 의회와 학계는 피어리의 주장을 공식적으로 인정했으나, 이후에도 논란은 계속됨.

피어리 탐험의 신뢰성 논란

  • 피어리의 기록은 북극점에서 30~50km 벗어나 있었다는 주장이 존재함.
  • GPS 기술이 없던 당시, 육안과 기계식 측정 도구로 위치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오차 가능성이 높았음.
  • 최근 연구에서는 피어리가 실제로 북극점에 도달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도 제기됨.

피어리의 이후 생애와 업적

  • 1911년, 피어리는 미국 해군에서 퇴역
  • 1911년~1916년, 국립지리학회(National Geographic Society) 회장 역임
  • 1920년 2월 20일, 워싱턴 D.C.에서 사망

수상 및 인정

  • 미국 의회는 1911년 피어리에게 특별 훈장을 수여
  • 1914년, 내셔널 지오그래픽 소사이어티(NGS)로부터 허버드 메달(Hubbard Medal) 수상
  • 북극 탐험의 개척자로 평가받으며, 그린란드 및 캐나다 북부 지역에 그의 이름이 붙은 지형이 존재함.

피어리의 유산과 평가

긍정적 평가

  • 북극 탐험 기법 혁신: 이누이트 기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극지 탐험의 효율성을 높임.
  • 북극 탐험 개척자: 후대 탐험가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침.

부정적 평가 및 논란

  • 북극점 도달 여부 불확실: 그의 항해 기록이 일부 의심받으며, GPS 분석 결과 실제로 도달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제기됨.
  • 탐험 방식의 비윤리성 논란: 일부 이누이트를 강제로 데려가거나, 현지 원주민에 대한 차별적 태도를 보였다는 지적도 있음.

피어리는 인류의 탐험 정신을 대표하는 인물로 평가받으며, 극지 탐험의 선구자로서 그의 이름은 역사 속에 남아 있다.

반응형